검색결과 리스트
책여행에 해당되는 글 1건
- 2017.01.25 [북토크] "짐 월리스" 배덕만 교수님 - 광주 성서유니온
글
[북토크] "짐 월리스" 배덕만 교수님 - 광주 성서유니온
[그루터기공동체 박근호 목사님 페북에 올라온 행사 안내입니다. 감사합니다.]
어제 다녀온 배덕만 교수님 북토크 후기입니다.
50석정도 되어 보이는 강의실이 꽉찼구요. 절반정도는 대전, 서울 등에서 내려왔습니다. 대단한 열정을 가진 분들이더군요. 1시간 10분정도의 강의와 30분정도의 질의응답시간이 있었습니다.
강의내용은 주로 루터로부터 시작한 개신교, 특히 복음주의의 역사적 흐름에 대한 설명이었습니다. 아주 많은 내용들이 나왔는데 생각날 때마다 소개하기로 하고 오늘은 큰 흐름만 요약하겠습니다.
[강의 시작전 요새 컨디션 안좋으신 사랑스런 아내의 얼굴샷입니다.]
우리가 복음주의로 알고 있는 카테고리는 유럽(독일)에서는 세 가지로 구분한다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거기에 오신 많은 분들은 이미 다 알고 있으셨을지도 모르지만, 저는 새롭게 알게 되었습니다.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그리고 어떤 역사적 흐름속에 있는지에 대한 상세한 설명도 들을 수 있었습니다.
이신칭의로 대표되는 루터와 칼빈의 신학적 흐름에서 이에 대항한 경건주의가 등장하게 된 배경과 이를 기반으로 한 웨슬레 신학의 발전과정에 대한 이야기도 잘 정리해서 말씀해 주셨습니다.
짐 월리스는 미국의 복음주의 역사의 맨 끝, 다시말하면 가장 최근의 흐름을 이끌어 가고 있는 "복음주의 좌파"로 구분된다고 합니다. 다른 관점에서 말하면, 존 웨슬레 이후의 또 업그레이드된 복음주의 흐름입니다.
즉, 성경의 해석은 보수적인 복음주의 형태를 유지하되(정통 개신교 신학), 자신의 구원과 관련하여 성화를 위한 경건한 삶(웨슬레 신학)을 뛰어넘어서 사회참여를 통한 정의와 공의의 참여자로서의 그리스도인을 추구하는 흐름입니다.
좀 무겁고 깊이있는 주제고, 모르는 인물이 너무 많이 나와서 집중력이 흩으러지기 좋은 분위기였으나, 전체적인 흐름을 잡는데는 큰 무리가 없는 쉬운 흐름이기도 했습니다.
특히 마지막 질의 응답시간에 나온 질문들 중 인상적인 이야기가 있어 소개합니다.
Q) 한국 사회 및 교회의 문제점은 (짐 월리스의 주장외에) 그 원인이 어디에 있다고 보는가(짐 월리스는 "부","경제"에서 원인을 찾는다.)
A) 분단국가로 부터 온다고 생각한다. 정상적인 과정을 거쳐 이룩한 민주주의가 아니다. 분단은 그 이전 일제강점기로 시작된 흐름이고, 그 이후에도 쿠테타와 같은 비정정상적인 방법으로 정치가 이루어져왔다. 이것은 유럽이나 미국과는 전혀 다른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국회의원들은 정치적 소신이 아닌 바람의 흐름(민중의 흐름)에 따라 의사결정하는 집단이다. 그리고 그것은 당연하다. 우리가 정치를 움직이긴 어렵지만, 정치인을 움직일 수는 있다. 시민혁명은 필요하다.
문제는 한국 교회는 한국 정치의 흐름과 같이간다는 것이다. 원칙적으로 정교가 분리되어 있는 학국적 흐름이 존재한다.
그래서 교회가 바뀌기 위해서는 정치가 바뀌어야 한다. 그 원인 또한 역사적 근거에서 찾을 수 있다. 그리스도인의 사회정의실현에 참여하는 것은 마땅하다. 그런 점에서 "짐 월리스"는 주목받을 것이다.
[쉬는 시간에 배덕만 교수님께서 제 옆에 계셨습니다. 살짝 눈치를 보며 사인을 요청했는데, 그 이후에 다른 분들도 사인 요청을 하시더군요.
덕분에 2부 강의가 5분정도 지연되었습니다. 흐흐~~ 죄송하고, 감사합니다.]